캐나다에서 배운 여섯 번째 영어
(My 6th post about English I've learned in Canada. )
1. 네가 짱이야! 네가 최고야! 
누군가에게(특히 친한 사람한테) 부탁을 했을 때 그 부탁을 들어주면 이렇게 말할 수 있죠? "(네가) 최고야!" 식당에서 들은 말은 "You are bomb!" 입니다. "the bomb"가 "최고다" 이런 뜻입니다 사람뿐만 아니라 행사나 사물들에도 쓸 수 있습니다. 참고로 영어 슬랭이 잘 정리된 "http://www.urbandictionary.com"에 가보니까 "He/She is bomb" 이렇게 쓰면 뜻이 달라집니다. 이럴 때는 외모가 아주 훌륭하다는 뜻인데 우리나라 말에 어울리는 말로는 "저 사람 외모 죽이는데!" 이렇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찾아보니까 1997년 이전에는 bomb(폭탄)이 부정적인 의미였는데 이후로는 좋은 뜻이 됐네요. 대신에 "the"를 꼭 사용하라고 나와있네요.
<1. (before 1997) Something really bad; a failure .
ex) I hated that movie! I'm not surprised that it was a total bomb at the box office.
2. (after 1997) Something considered excellent and/or the best (uses modifier "the")
ex) I loved that movie! It was the bomb!
출처: http://www.urbandictionary.com/define.php?term=bomb
>
2. 상사가 부하직원을 갈구다(?) / 부하직원한테 ㅈㄹ 한다?
(군대에서 많이 일어나는 일이죠?)
얼마전에 우리 식당이 청결 및 위생 상태 조사를 받았습니다. 이런걸 영어로는 "inspection"이라고 이번에 배웠습니다. 제가 그 현장에 있었는데 조사원(inspector)이 결과 정리를 하고 매니저들과 이야기를 나눴죠.. 좀 지적사항이 있었습니다. 들어보니까 심각한 수준(critical)이 8개 심각한 정도가 아닌(non-critical)이 7개였다고 하네요. 오후 5시 쯤 돼서 부매니저가 직원들을 불러 모아서 좀 더 열심히 하자고 이야기 했는 데 중간에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When there's a problem, the regional kitchen manager doesn't come to you. He comes to the manager and me. He doesn't shit on you, but shits on us."
(문제가 생기면 Regional kitchen manager가 너희한테 안 가고(너희한테 뭐라 안 하고) 매니저랑 나한테 와(우리한테 뭐라 하지). 너희 안 갈구고(너희한테 ㅈㄹ 안 하고) 우리를 갈구지(우리한테 ㅈㄹ하지) 
"shit on" 의 의미 아시겠죠? 그리고 regional kitchen manager에 맞는 단어는 제가 잘 모르겠는데요. 설명을 하자면 "regional"의 의미가 "지역의" 이런 뜻이라서 제가 일하는 식당뿐만 아니라 우리 지역에 있는 다른 지점까지 관리하는 매지저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굳이 번역하자면 "지역 총괄 매니저" 정도? 참고로 부매니저는 "Assistant Manager"입니다.

3. gravy 거의 떨어져가~
식당에서 일하다가 보면 재료나 소스가 모자랄 때 있겠죠. 식당에서는 gravy라는 소스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거는 항상 따뜻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소스를 끓인 다음에 따뜻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그러면 server들이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We're running low on gravy~" (gravy 거의 떨어졌어~) 필요한게 점점 부족해지거나 할 때 "run low "를 사용하면 됩니다. "-ing" 진행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Supplies of food were running low. 
(식량 공급이 거의 바닥 상태였다)
We’re running low on milk. (우유 거의 떨어졌어)

<지난 번 게시물과 비슷하게 4~5번은 제 친구 Marcos Acosta 와 얘기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As in my last post, the following two expressions are from what I learned from my friend, Marcos Acosta.>

4. 아브라함 링컨이 몇 대 대통령이지?
이 말을 어떻게 할지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몇 달 전 미국 뉴스에서 미국 사람들 인터뷰하는 데 질문 내용이 미국 역사에 대한 퀴즈였습니다. 조지 워싱턴에 관한 질문이었는데 "Which president" 라고 물어보자 질문 받은 사람이 "He was the second president...."라고 이야기해서 "Which president" 몇 대 대통령이라는 뜻도 있구나라라고 알았습니다. 그럼 정식으로 어떻게 물어봐야 할지 몰라서 Marcos Acosta에게 물어봤습니다.

Me: Marcos, if I had to ask "which president is Abraham Lincoln?" would your answer be 16th?
( Marcos, 내가 혹시라도 "which president is Abraham Lincoln?"이라고 물어보면 16대 대통령이라고 대답할거야?)

Marcos: Yes, but use 'was' not 'is'
(어 그렇게 대답할거야 대신 'is'가 아니고 'was' 야)

-> 그러니까 "Which president was (대통령 이름)?' 하면 "그 대통령이 몇 대 대통령이야?" 이런 뜻이 됩니다.

5. pull or work a double (shift)

Me: I am supposed to work until 6. And then my next shift takes over. 
(나는 6시까지 일하기로 돼 있어. 그리고 나면 다음에 오는 사람이 넘겨 받지.)

Marcos: cool. Let's hope they show up. No one likes pulling a double.
(괜찮네, 다음에 오는 사람이 안 까 먹기만 하면 딱 좋네. 아무도 연속으로 (이중으로) 일하는거 안 좋아하잖아.)

제 다음 순번이 안 나타나면 이중으로 일을 해야 하겠죠?...ㅜㅜ 
pull / work a doulbe (shift) 하면 연속으로 일한다는 뜻입니다.

참고로 "pull one's weight" 협동해서 일 할때 "해야 할 만큼 일을 하다"라는 뜻입니다.

In a busy restaurant, everyone has to pull their weight.
(바쁜 식당에서는 모두가 해야 할 만큼 일을 해야 한다.)

The rest of the team complained that Sarah wasn't pulling her weight.
(팀의 나머지 사람들은 Sarah가 자기가 해야 할 만큼 일을 안 해서 불평했다.)

Posted by Korean 마스크맨
,

캐나다에서 배운 다섯 번째 영어
(My 5th post about English I've learned in Canada.)

1. 선곡 좋네!~
식당에서 일할 때 한 사람 휴대폰을 스피커에 연결해서 음악 들으면서 일합니다. (사실 99% 모르는 노래...ㅜㅜ 팝송은 올드한 것만 알아서..) 한 날은 매니저가 나오는 노래를 듣고 휴대폰 연결한 직원한테 "Good choice on the music!" (직역: 노래 좋은 선택했네!) 사실 한국 말로 직역처럼 이야기 잘 안 하잖아요. "선곡좋네!" 이렇게 이야기 하지.. ㅎㅎ "Good choice on A" 하면 "A 잘 골랐네!" "A 선택 잘 했네!" 이렇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노래의 경우만 "선곡 잘 했네!" 라고 번역하면 될 것 같습니다.

2. 엎친데 덮친 격
이 말을 영어로 할 때 가장 많이 배운 표현은 "To make things[matters] worse" 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표현은 엄밀히 번역하면 "엎친데 덮친 격으로" 으로 해서 번역될 것 같습니다. 문법적으로 따지면 부사인 거죠. 그런데 제 생각에 한국 말에서는 "이건 완전 <엎친 데 덮친 격>이잖아." 로 써서 명사형으로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여기에 해당 되는 말이 "a double-whammy"입니다. "엎친데 덮친 격" 이란 뜻 말고도 "이중고" "연속된 불운" 이라는 의미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식당에서 들었을 때는 바텐더 한 명이 주방에 들어왔는데 발꿈치를 잘못해서 벽에 부딪히면서 "It's like a double-whammy" 말했습니다. 발꿈치를 부딪히기 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모르겠지만 실수를 했다거나 뭔가 사소하지만 발꿈치를 벽에 부딪히는 정도와 비슷한 일이 일어났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위에서 그 바텐더가 말한 "It's like a double-wahmmy"는 "재수 옴 붙은 것 같네.." 로도 번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우리는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게 있어. 
"unspoken"을 네어버 영어 사전에서 검색해보면 "말로 하지[입 밖에 내지] 않은, 무언의(이해・합의 등)" 그런데 오늘 제가 식당에서 운 좋게 들은 말로 좀 더 쉽게 정의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뜻은 "말하지 않아도 아는 / 느낄 수 있는" 입니다. 오늘 식당에서 서로 친한 남자 직원 둘이서 장난하듯이 가슴으로 하이파이브를 했습니다. 그리고 여자 직원들이 쳐다보길래 한 남자직원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We have a unspoken thing" (우리는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게 있어).

**4. 이번에 할 내용은 캐나다에서 배운 건 아니고 제 미국인 친구인 Marcos Acosta 와 메신저에서 주고 받았던 대화에서 나왔던 유용한 표현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The 4th expression I want to share with you is not from Canada but from a conversation I had with my friend, Marcos Acosta, on Messenger)

Marcos: What your plans for the holidays? Or what kind of holiday does Canada have?
(공휴일 계획 어떻게 돼? 음.. 캐나다에서는 (국가 지정) 공휴일 뭐가 있어?)

< **** What date is it today? (오늘 날짜가 어떻게 돼지?)
**** What day is it today? (오늘 무슨 요일이야?)
**** What kind of day is it today? (오늘 무슨 날이야?) >

Me: Since I work at a restaurant, I guess I should have to work.
(식당에서 일하니까, 아무래도 일해야 할 것 같은데..)
Me: To be honest, I have no plan at this moment.
(솔직히 말하면, 지금으로서는 계획은 없어.)

Marcos: Oh yea. Restaurants are backwards, in that u usually have to work more over the holidays. 
(아 그렇지. 식당은 거꾸로지, 보통 공휴일에는 일 더 많이 하니까)

"backward"는 "뒤떨어진, 후진적인" 이라는 뜻이니까 "반대로, 거꾸로"라는 뜻으로 말할려면 "backwards" 's' 꼭 붙여야 합니다.


Posted by Korean 마스크맨
,

1. 부탁에 응할 때 yes 또는 no 라고 대답하기 조금은 헷갈릴 때..... "흠.. 무조건 yes 아니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에게 누가 뭔가를 부탁할 떄는 Can you, Could you, Would you 등등 이렇게 말하겠죠? 그러면 하겠다고 하면 yes 라고 하면 됩니다. 그런데 Do you mind if ~? 또는 Would you mind ~ ? 라고 질문을 받고나서 한다고 대답할 때 yes라고 답해도 될까요? 학교에서 배웠겠지만 "mind"를 동사로 사용하면 "뭔가를 꺼려하다" 이런 뜻이라서 "No" 또는 "Not at all" 이렇게 대답해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목소리 톤만 괜찮으면 yes라고 해도 된다고 나오지만 이에 대한 논란은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식당에서 "Would you mind putting through the cutlery?" 라고 물어봤을 때 얼떨결에 "yes"라고 대답했지만 좀 찜찜했습니다. 그래서 주변 사람들이 말하는 걸보고 "can you ~ ?" "could you~?" "would you~?" "would you mind~?" "do you mind~?" 에 모두 통하는 답을 알아냈습니다. 엄청 쉽습니다. "No problem" 이거 하나면 다 됩니다. 그래서 이게 점점 입에 붙고 있습니다. ㅋㅋㅋ

2. BOH, FOH - "House" 가 식당이라는 의미가!?..
식당에서 일하는 사람들끼리 정보를 공유하는 facebook 페이지가 있는데 어느 날 매니저가 글을 하나 올렸습니다. 거기에 "BOH"라는 단어가 있었습니다. 저는 이게 무슨 뜻인지 몰랐습니다. 그래서 찾아봤죠. 그랬더니 BOH와 함께 FOH라는 단어가 나왔습니다. BOH는 "Back-of-House" FOH는 "Front of House"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House"는 "식당(Restaurant)"을 뜻합니다. 그래서 "Back-of-House"를 직역하면 식당의 뒤인데 진짜 의미는 "주방에서 일하는 직원(주방팀)" 그리고 "Front-of-House"는 직역하면 식당의 앞인데 진짜 의미는 "손님을 접대하는 매니저, 서버, 카운터에서 일하는 사람(뭐라 할까 홀서비스 팀(?)...)". 그러니까 BOH는 식당의 숨은 곳에서 일하는 직원들이고 FOH는 손님을 직접 마주하면서 일하는 직원들입니다. "House"가 식당이라는 의미를 알면 배울 수 있는 유용한 표현이 있습니다. "이거 서비스입니다" 이거 영어로 어떻게 할까요? service라는 말 사용하지 않습니다. 바로 이렇게 사용합니다. "It's on the house". 참고로 "the house" 부분만 "me"로 바꾸면 "It's on me!"이렇게 되죠? 뜻은 "이거 내가 쏜다 or 이거 내가 낸다" 라는 뜻입니다. It's on ~ 부분 감 잡으셨죠?

3. "guy"를 이런 의미로도 써 봅시다. 
"a guy" 는 "남자" "a man"이랑 같은 말입니다. 그런데 제가 만약 출근을 해서 직원방(staff room)에 들어갔는 남자직원, 여자 직원 다 있으면 우리 말로는 "얘들아 안녕" 이렇게 할 수 있겠죠? 그러면 영어로는 어떻게 할까요? 남자 여자 다 있으니까 "Hi~ guys and girls"
라고 할까요? 그냥 "Hi~ guys"라고 하면 됩니다. 검색해보면 남자가 한 명도 없는 데도 "guys"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진짜 설명하고 싶은 "guy"의 의미는 이게 아닙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수학 시간에 "2+3 = " 을 선생님이 칠판에 적었다고 합시다. 그러면 선생님이 학생들한테 "2랑 3이랑 더하면 얼마지?"라고 물어 볼 수 있겠죠? 그런데 이렇게도 물어볼 수 있겠죠? "(2랑 3을 가리키면서) 얘랑 얘 더하면 얼마지?" 이 때 "얘"에 해당하는 게 영어로 "guy"입니다. 얼마 전에 식당에서 이 말을 들었습니다. 매니저가 음식을 서버한테 주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this guy, drop off at Table 3... " (얘는 3번 테이블에 주고..) 우리가 사물을 의인화해서 말할 때 쓰는 "얘" 영어로는 "guy" ㅎㅎ 우리가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물건의 이름을 알 수가 없으니까 "this" 랑 "that"을 쓰지만 "this guy" "that guy" (대신 손가락으로 꼭 가리키면서) 도 써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우리 식당 직원용 방에 붙었던 게시물을 통해 영어를 배워봅시다. (사진도 참고 하시구요~) - ( **는 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표현) line by line

Clutter Smothers: Clutter는 "지저분한 상태"를 뜻합니다. Smother는 "(뭔가를) 숨을 못 쉬게 하다" 입니다. 직역+의역하면: "지저분해서 숨을 못 쉬겠네" 의역하면 "지저분해서 못 살겠네!"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Please keep the staff room tidy: 제발 직원용방 정리정돈된 상태로 유지합시다.

**clean up after yourselves: 
본인이 어지른건(먹었던건) 본인이 정리합시다/ 치웁시다.
본인이 썼던 자리는 본인이 깨끗하게 합시다.

clean up / pick up after A: A가 어지른 것을 정리하다. 뜻입니다.
예를 들어 pick up after your dog 라고 하면 무슨 뜻일까요? 개 산책 시키다가 개가 변을 보면 주인이 변을 담아서 봉투에 넣는 것을 볼 수 있죠? 이게 바로 pick up after your dog 하는 겁니다. 개가 길에다가 어지른 것을 정리하니까요.

If you are finished (with) eating: 다 먹었으면.
: (참고) 보통 with가 들어가는 데 캐나다 영어는 안 넣어도 된다고 합니다. 우리가 보통 "~를 졸업하다"를 graduate from으로 알고 있는데 캐나다 영어에서는 from을 빼도 된다고 합니다. 
위키피디아 Canadian English- Grammar 참고.

Clear out your plates, cutlery, glasses.: 그릇, 수저, 컵 좀 치우세요

No one likes a **slob!: slob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slob은 한 단어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 그냥 적었는데요. 위의 내용으로 추측할 수도 있겠지만 설명하면 "게으르고 지저분한 사람"입니다. 엄마가 방 안 치우고 미루고 또 미루는 아들에게 "slob"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여기까지 입니다.




Posted by Korean 마스크맨
,